많은 사람들이 일본식 청주를 ‘정종’이라고 부르지만, 사실 ‘정종(正宗)’은 원래 특정 브랜드의 이름이었다. 일본 사케(酒)가 한국에 처음 들어왔을 때, 가장 유명했던 브랜드가 ‘정종’이었고, 그 영향으로 일본식 청주를 모두 ‘정종’이라고 부르게 된 것이다. 그렇다면 사케, 청주, 정종의 차이는 무엇일까?
정종(正宗)은 일본 사케 브랜드
- ‘정종(正宗, 마사무네)’은 일본 효고현에서 만들어진 유명한 사케 브랜드 중 하나이다.
- 일제강점기 시절, 일본 술이 한국에 들어오면서 가장 많이 알려진 브랜드가 ‘정종’이었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일본 사케(청주)를 정종이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 실제로는 사케 브랜드 중 하나일 뿐이며, 일본에서 사케를 ‘정종’이라고 부르지 않는다.
사케(酒) = 청주(清酒)
- **사케(酒)**는 일본에서 술을 의미하는 단어지만, 일반적으로 **청주(清酒)**를 가리킨다.
- 일본 사케는 쌀과 물을 발효시켜 만든 술로, 한국의 청주와 비슷하다.
- 도수는 14~16도 정도이며, 따뜻하게 데워 마시거나 차갑게 마실 수도 있다.
- 한국의 ‘청주’도 맑은 술을 뜻하지만, 일본 사케와는 제조 방식이 약간 다르다.
뜨거운 사케? ‘히레자케(ひれ酒)’
- 일본에서는 사케를 따뜻하게 데워 마시는 문화가 있다. 이를 **‘간자케(燗酒)’**라고 한다.
- 특히 **말린 복어 지느러미(히레, ひれ)를 넣어 마시는 ‘히레자케(ひれ酒)’**가 유명하다.
- 사케를 뜨겁게 데운 후, 말린 복어 지느러미를 넣어 풍미를 더하는 방식이다.
- 따뜻한 사케는 겨울철에 많이 마시며, 향이 더욱 깊어지는 특징이 있다.
사케, 청주, 정종 차이점
구분 뜻 특징
사케(酒) | 일본에서 술을 의미하지만, 보통 청주를 뜻함 | 일본식 쌀 발효주, 도수 14~16도 |
청주(清酒) | 한국에서 맑은 술을 의미 | 약재가 들어가거나, 맛이 다소 다름 |
정종(正宗) | 원래 일본 사케 브랜드명 | 한국에서 사케를 ‘정종’으로 통칭하게 됨 |
일본식 청주를 ‘정종’이라고 부르는 것은 일제강점기 때 들어온 특정 브랜드의 영향 때문이었다. 이제는 정종이 아닌 **사케(酒)나 청주(清酒)**라는 정확한 표현을 쓰는 것이 맞다.
사케 등급을 결정하는 기준
사케는 **쌀을 얼마나 깎아냈는지(정미율, 精米歩合)**에 따라 등급이 달라진다.
- 정미율(精米歩合): 쌀을 깎아낸 비율로, 숫자가 낮을수록 더 정교한 사케이다.
- 예) 정미율 50% → 원래 쌀 크기의 50%만 남김
- 양조 알코올 사용 여부: 순수한 쌀, 물, 누룩만 사용한 ‘준마이(純米)’ 사케와 양조 알코올을 첨가한 사케로 나뉜다.
사케 등급
사케(酒)는 쌀과 물을 발효시켜 만든 일본 전통주로, 쌀을 얼마나 정미(精米)했느냐에 따라 등급이 나뉜다. 특히, 사케를 처음 접하는 사람들은 ‘준마이’, ‘긴조’, ‘다이긴조’ 등의 용어가 생소할 수 있다.
사케 등급별 특징
등급 정미율 알코올첨가 특징
다이긴조(大吟醸) | 50% 이하 | O | 가장 고급스러운 사케, 향이 화려하고 부드러운 맛 |
준마이 다이긴조(純米大吟醸) | 50% 이하 | X | 다이긴조보다 깔끔하고 드라이한 맛 |
긴조(吟醸) | 60% 이하 | O | 과일 향이 나며 깔끔한 맛 |
준마이 긴조(純米吟醸) | 60% 이하 | X | 더욱 순수한 쌀맛과 깊은 감칠맛 |
혼죠조(本醸造) | 70% 이하 | O | 가볍고 부드러운 목넘김, 따뜻하게 마시기 좋음 |
준마이(純米) | 제한 없음 | X | 쌀 본연의 깊은 감칠맛, 구수하고 묵직한 풍미 |
사케 등급 한눈에 보기
프리미엄급 사케 일반적인 사케
다이긴조 (大吟醸) | 혼죠조 (本醸造) |
준마이 다이긴조 (純米大吟醸) | 준마이 (純米) |
긴조 (吟醸) | |
준마이 긴조 (純米吟醸) |
사케 선택법
- 부드럽고 화려한 향을 원한다면? → 다이긴조, 준마이 다이긴조
- 깔끔하고 드라이한 사케가 좋다면? → 긴조, 준마이 긴조
- 부담 없이 마시기 좋은 사케? → 혼죠조, 준마이
- 따뜻한 사케(간자케)로 즐기기 좋음? → 혼죠조, 준마이
▼ 일식집 메뉴 어렵죠? 메뉴 이름 뜻과 재료등을 총정리 !!▼
이자카야(일식주점) 메뉴 이름 뜻, 재료 : 오코노미야키, 덴뿌라 아게 차이점 , 규동, 차슈동, 돈
megakorea365.wissue.net
'Check! > Food'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각 나라별 해장음식 : 미국 일본 독일 태국 등 (1) | 2025.02.03 |
---|---|
송절주 만드는 법과 효능: 조선 왕 영조가 사랑한 건강주 (0) | 2025.02.01 |
영조의 탕평책과 탕평채: 조화를 향한 정치와 음식 (1) | 2025.02.01 |
전 세계 피 소시지(순대)의 이야기: 블랙 푸딩, 부댕 누아르, 모르시야 기원과 문화 (0) | 2025.01.28 |
호주산 소고기 특징, 사육방식, 이력추적 시스템 등.. (0) | 2025.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