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영조와 탕평책의 배경 조선 후기, 붕당 간의 치열한 대립은 국정 운영에 큰 혼란을 초래하였다. 특히 숙종(재위 1674~1720) 시기에는 동인, 서인, 남인, 북인 등 여러 붕당이 형성되었고, 정권을 잡은 당파가 상대 당파를 배제하며 정국이 불안정해졌다. 이러한 당쟁의 폐해를 해결하기 위해 조선 21대 왕인 영조(재위 1724~1776)는 탕평책(蕩平策)을 제시하였다. 탕평책이란? 탕평(蕩平)이라는 용어는 『서경(書經)』의 「홍범편(洪範篇)」에서 유래하며, "무편무당 왕도탕탕, 무당무편 왕도평평(無偏無黨 王道蕩蕩, 無黨無偏 王道平平)"이라는 문장에서 비롯되었다. 이는 "치우침이 없고 당파가 없으면 왕도의 길이 넓고 평탄하다"는 뜻으로, 군주가 공정하고 치우침 없는 정치를 해야 함을 강조한다. 영조..